북한·한반도
6·25전쟁 75주년, 끝나지 않은 전쟁과 평화의 과제
2025년 6월 25일, 한국은 6·25전쟁 발발 75주년을 맞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공식 기념식을 열었다. '영웅들이 지킨 나라, 이어나갈 대한민국'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6·25 참전 유공자, 정부 및 군 주요 인사, 유엔 참전국 외교사절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하게 진행됐다. 전국 각지에서도 추모 행사와 전시, 학술대회 등이 열리며 전쟁의 아픔과 교훈을 되새겼다. 국제사회 속 한국전쟁의 역사적 의의 6·25전쟁은 단순한 한반도 내부의 갈등을 넘어, 냉전 체제를 촉진한 세계사적 분기점이었다. 유엔 안보리 결의를 통해 역사상 최초의 국제연합군이 조직된 이 전쟁은, 집단안보체제의 시발점으로 기록된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16개국이 병력을 파견했고, 총 22개국에서 195만 명 이상이 참전했다. 북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에 이르는 폭넓은 국제 연대는 한국전쟁의 국제적 성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 전쟁은 NATO의 확대, 미국 중심의 자유주의 국제질서 확립, 국제 공산주의 진영의 균열 등 세계 정치 질서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재래식 무기에 의한 마지막 국제전쟁'으로 인식되며 핵무기 경쟁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참혹한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