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처럼 보이는 가짜…공문서 사칭 범죄의 실체

위조 공문서부터 카드 배송 사칭까지…권위에 의존한 신종 사기 수법 경고

 

 

공공기관을 사칭한 공문서 위조 및 전화 사기 범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울산소방본부를 사칭한 사건이 자영업자의 기지로 사전에 차단됐다. 그러나 군부대·검찰·금융기관 등을 내세운 유사 수법이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울산소방본부 사칭, 위조 공문에 응급구호 명목까지

지난 4월 22일, 울산의 한 철물점에 '울산소방본부 소속 A소방위'를 사칭한 인물이 전화를 걸어 사다리 구매 요청과 함께 사업자등록 정보를 요구했다. 이어 '물품지급 결제 확약서'라는 제목의 위조 공문서와 특정 민간업체 명함을 전달하며, 응급구호키트 100세트 대납을 요구했다. 예상 피해액은 약 1,500만 원이었지만, 철물점 관계자가 의심을 품고 소방본부에 직접 확인해 범행은 미수에 그쳤다.

울산소방본부는 "대납 요청이나 선결제를 요구하는 일은 없다"며 시민들에게 기관 명의 요청이 있을 경우 반드시 공식 연락처를 통해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위조 공문에 이어 카드 배송 사칭까지…진화하는 수법

이와 유사한 사기 수법은 군부대나 검찰을 사칭해 전투식량, 방화복, LED 조명 등 물품 대납을 요구하는 사례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검찰총장 명의의 가짜 공문을 보내거나, 메신저를 통해 구속영장을 위조한 이미지를 전달하며 금전을 편취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신용카드 배송을 사칭한 전화 사기까지 등장했다. 올해 들어 전북을 중심으로 90건 이상의 피해가 접수됐다. 범죄자는 피해자의 이름과 연락처를 미리 입수한 뒤 카드사 배송원을 가장해 "신용카드가 배송 중"이라는 전화를 건다. 카드 발급 의사가 없다는 피해자에게는 문제 해결을 위한 가짜 고객센터 번호를 안내한다.

피해자가 전화를 걸면, 위장된 고객센터는 금융감독원이나 검찰 직원을 사칭하며 개인정보 유출, 범죄 연루 등을 명분으로 주민번호와 금융정보를 요구한다. 이를 통해 범죄자들은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취득한 후, 악성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거나 금융자산에 접근하려는 시도를 벌인다. 일부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조작하거나 모바일뱅킹 계정을 탈취해 금융자산을 노리는 한편, 배송 주소 오류 등을 빌미로 피해자에게 추가 정보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사기를 이어가기도 한다.


전문가 조언: "모든 연락을 의심부터, 직접 확인이 최선"

전문가들은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을 사칭한 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공문과 전화, 모두 의심부터 해야 하며 직접 확인하는 것이 최선의 방어"라고 조언한다. 이들은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 명의로 어떤 요청이 들어오더라도 반드시 공식 채널을 통해 진위를 확인해야 하며, 선결제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이를 거절하고 계약금 선수령이나 유선 확인 등의 사전 조치를 취할 것을 강조한다. 또한 카드사 관련 연락을 받았을 경우에는 본인이 직접 해당 카드사의 고객센터에 확인해야 하며, 출처가 불분명한 우편물은 절대로 개봉하지 않고 즉시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에는 지체 없이 112에 신고하는 것이 피해를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사전 차단은 가능…사회 전체의 경각심이 관건

이번 울산 사례처럼 사기를 사전에 막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범죄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어 경각심을 늦출 수 없다. 정부와 기관, 지역사회가 협력해 사전 홍보와 피해 접수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시민들도 일상에서 무조건적인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의심의 눈초리로 정보를 판단하며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공신력 있는 기관이라는 외피를 활용해 경계심을 무너뜨리려는 수법이 빈번하게 사용되는 만큼, 사회 전반의 비판적 사고와 실질적 확인 절차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