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 청년단체 기자회견 논란

'백골단' 명칭 사용에 여야 비판 쇄도

오늘(9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신들을 ‘반공청년단’이라 칭한 극우 성향의 청년들이 과거 민주화 시위 진압 부대인 ‘백골단’의 이름을 다시 꺼내 논란이 일었다. 이들은 백골단을 자신들의 예하 조직으로 지칭하며,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막기 위한 활동을 예고했다.

 

 

백골단은 1980~1990년대 민주화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사복 경찰 부대의 이름으로, 독재정권 시절 공권력 남용을 상징하는 조직이다. 반공청년단 측은 “강한 이미지를 위해” 이 이름을 사용했다고 밝혔지만, 이는 과거의 폭력적 진압을 떠올리게 한다며 강한 비판에 직면했다.

 

반공청년단은 기자회견에서 하얀 헬멧을 쓰고 대통령 관저 주변에서 감시 활동을 하는 자경단으로 활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민주노총 등 반정부 집회를 ‘질서 위협’으로 간주하며 이를 견제하겠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을 주선한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은 여야를 막론하고 비판의 중심에 섰다. 국민의힘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 개인적인 행동”이라며 선을 그었지만, 일부 지지자들은 김 의원의 책임을 질타하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한편, 당내에서는 "극우 단체를 국회 기자회견장에 불러들인 것은 심각한 판단 오류"라는 비판과 함께, 극우 성향 지지층을 지나치게 의식한 행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과 개혁신당은 김 의원을 강하게 비판하며, 의원직 제명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박창진 부대변인은 "백골단을 옹호한 김 의원은 국회의원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으며,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도 “독재정권의 상징을 되살리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김 의원은 SNS를 통해 사과문을 게시했다. 그는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지 못하고 기자회견을 주선한 점에 대해 송구하다”며 반공청년단의 ‘백골단’ 명칭 사용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청년들의 자발적 활동 의도가 왜곡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해당 명칭 사용 철회를 요구했다.

1980년대 백골단의 폭력적 진압은 강경대 열사 사건 등을 통해 국민적 저항과 민주화 운동의 도화선이 된 바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해당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명칭 논란을 넘어, 박근혜 정부때 서북청년단과 같이 과거 독재정권의 유산을 되짚고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