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2차 집행, 내일(15일) 새벽 착수 예정

법치주의 회복의 시험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체포영장 집행이 1월 15일 새벽 5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작전은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법 집행의 상징성을 강조하며 철저한 준비 끝에 실행에 옮겨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한남동 관저 주변의 경호처와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지막 협상과 작전 조율을 진행 중이다.

 

 

체포영장 집행에는 전국에서 동원된 경찰 1,000여 명이 투입된다. 서울, 경기남부, 경기북부, 인천청의 광역수사단과 형사기동대, 마약범죄수사대 등 여러 부서의 정예 인력들은 국가수사본부(국수본)에 파견되었으며 이들은 관저앞에 집결하여 체포조, 장애물 제거조, 호송조로 세분화된 역할을 맡는다. 특히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소속의 300여명은 공수처에 직접 파견되어 체포영장 집행에 집중 투입된다.

경찰은 한남동 대통령 관저의 차벽, 철조망 등 방어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해 대규모 중장비를 배치했으며, 장애물 제거 작업은 14일 자정부터 개시될 가능성이 크다. 준비된 장비에는 경찰 크레인과 절단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관저 진입로의 개방을 목표로 한다.

 

 

경호처는 "체포영장 집행이 불법적이라 판단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수도방위사령부 55경비단은 공수처와의 협의를 통해 관저 출입을 승인했으나, 경호처 내부의 일부 고위 인사들이 강경 노선을 고수하고 있어 충돌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경찰은 비무장 원칙을 준수하며, 총기를 배제하고 방탄 조끼와 수갑, 3단봉 등 최소한의 장비만을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경호처의 물리적 저지를 대비해 현행범 체포 방안을 사전에 마련했다.

 

 

공조수사본부는 이번 작전이 길어질 가능성을 고려하여 최대 2박 3일의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작전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세부적인 전략을 마련했으며, 경호처의 김성훈 차장등 지휘부를 우선 체포하여 내부의 저항 동력을 약화시키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14일 오전 진행된 경찰과 공수처, 경호처 간 3차 회동은 협상 결렬로 끝났다. 경호처는 체포영장 집행의 불법성을 주장하며 협력을 거부했으며, 경찰은 이후 추가적인 설득 시도를 이어갔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실행되면서 법치주의가 다시금 시험대에 오르게 되었다. 경찰과 공수처는 체포가 평화롭게 이루어질 경우 법치 회복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 강조하며,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긴장된 상황 속에서 경호처의 강경한 대응이 예상돼, 작전의 최종 결과는 끝까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